맨위로가기

제5회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회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2004년에 개최된 바둑 대회로, 24강부터 결승까지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24강, 16강, 8강전은 중국 상하이 잉씨바둑학교에서, 준결승전은 중국 꾸이양 티엔이하오성 호텔에서, 결승전은 대한민국 서울 롯데호텔과 중국 베이징 쿤룬호텔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결승전에서 창하오 9단이 최철한 9단을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제9회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연기되어 온라인으로 진행된 제9회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는 신진서 9단이 셰커 9단을 꺾고 우승했다.
  •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제10회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2024년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이치리키 료가 신진서를 꺾고 우승하며 2014년 입단 후 첫 세계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 2004년 바둑 - 23기 KBS 바둑왕전
    23기 KBS 바둑왕전은 2003년 12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진행된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으로, 이창호 九단이 조한승 七단을 2:1로 꺾고 우승했으며, KBS 코리아에서 녹화대국으로 방송되었다.
  • 2004년 바둑 - 9회 삼성화재배 세계 바둑오픈
    9회 삼성화재배 세계 바둑오픈은 2004년에 개최되었으며, 이세돌 9단이 결승에서 왕시 5단을 꺾고 우승하였다.
제5회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2. 대회 일정

제5회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2004년 4월 19일 24강 추첨을 시작으로 2005년 3월 5일 결승 4국까지 진행되었다. 대회는 중국 상하이 잉씨바둑학교, 중국 구이양 티엔이하오성 호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소공동 롯데호텔, 중국 베이징 쿤룬호텔 등 여러 장소에서 개최되었다.

2. 1. 주요 일정

구분일정장소
24강 추첨2004년 4월 19일중국 상하이 잉씨바둑학교
24강전, 16강 추첨2004년 4월 20일
16강전2004년 4월 22일
8강전2004년 4월 24일
준결승전1국: 2004년 9월 6일
2국: 2004년 9월 8일
3국: 2004년 9월 10일
중국 꾸이양 티엔이하오성 호텔
결승 1국2004년 12월 26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소공동 롯데호텔
결승 2국2004년 12월 28일
결승 3국2005년 3월 3일중국 베이징 쿤룬호텔
결승 4국2005년 3월 5일


2. 1. 1. 24강 및 16강전

24강 추첨은 2004년 4월 19일에, 24강전 및 16강 추첨은 4월 20일에, 16강전은 4월 22일에 진행되었다. 모든 대국은 중국 상하이 잉씨바둑학교에서 열렸다.

16강 대진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진승자패자
야마시타 게이고일본어 9단 ( 일본)이창호 9단 ( 대한민국)
최철한 9단 ( 대한민국)마샤오춘 9단 ( 중국)
저우허양 9단 ( 중국)오타케 히데오 9단 ( 일본)
펑취안 7단 ( 중국)요다 노리모토 9단 ( 일본)
유창혁 9단 ( 대한민국)창하오 9단 ( 중국)
쿵제 7단 ( 중국)린하이펑 9단 ( 일본)
저우쥔쉰 9단 ( 대만)오메이엔 9단 ( 일본)
송태곤 7단 ( 대한민국)위빈 9단 ( 중국)


2. 1. 2. 8강전 및 준결승전

8강전은 2004년 4월 24일에 중국 상하이 잉씨바둑학교에서 열렸다. 준결승전은 2004년 9월 6일부터 10일까지 중국 구이양 톈이하오성 호텔에서 개최되었다.

대진4월 24일 (8강)9월 6일 ~ 10일 (준결승)
이창호한국어 0 : 1 최철한한국어최철한한국어 2 : 1 펑취안중국어
저우허양중국어 0 : 1 펑취안중국어
창하오중국어 1 : 0 쿵제중국어창하오중국어 2 : 1 송태곤한국어
0 : 1 송태곤한국어


2. 1. 3. 결승전

대국일장소최철한창하오기보
2004년 12월 26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소공동 롯데호텔10
2004년 12월 28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소공동 롯데호텔01
2005년 3월 3일중국 베이징 쿤룬호텔01
2005년 3월 5일중국 베이징 쿤룬호텔01
총전적13



결승전에서 창하오 9단이 최철한 9단을 상대로 3승 1패를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3. 참가 선수 명단

국가참가 선수
대한민국5명
중국8명
일본7명
타이완2명
미국1명
유럽1명



중국은 8명으로 가장 많은 인원이 참가했다. 창하오, 마샤오춘, 위빈 9단은 전기 대회 8강 자격으로, 저우허양, 구리, 쿵제, 류싱, 펑취안은 선발전을 통해 참가했다.

일본은 7명이 참가했다. 린하이펑, 왕밍완, 오타케 히데오, 요다 노리모토 9단은 전기 대회 8강 자격으로, 왕리청, 야마시타 케이고, 하네 나오키 9단은 선발전을 통해 참가했다.

타이완에서는 장쉬, 저우쥔쉰 9단이, 미국에서는 차민수 4단이, 유럽에서는 알렉산더 디너스타인 초단이 참가했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 (5명): 이창호 9단(전기 8강), 이세돌 9단, 유창혁 9단, 최철한 6단, 송태곤 6단

선수비고
이창호9단전기 8강
이세돌9단
유창혁9단
최철한6단
송태곤6단


3. 2. 중국

창하오 9단(전기 8강), 마샤오춘 9단(전기 8강), 위빈 9단(전기 8강), 저우허양 9단, 구리 7단(당시), 쿵제 7단(당시), 류싱 6단(당시), 펑취안 5단(당시)

3. 3. 일본

선수
린하이펑9단
왕밍완9단
오타케 히데오9단
요다 노리모토9단
왕리청9단
야마시타 케이고9단
하네 나오키9단


3. 4. 기타 국가

4. 대진표 및 결과

{| class="wikitable"

|-

! 16강전

!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최철한 崔哲瀚|최철한중국어마샤오춘 馬曉春|마효춘중국어
이창호 李昌鎬|이창호중국어야마시타 케이고 山下敬吾|야마시타 케이고일본어
펑취안 彭荃|팽전중국어요다 노리모토 依田紀基|요다 노리모토일본어
저우허양 周鶴洋|주학양중국어오타케 히데오 大竹英雄|오타케 히데오일본어
창하오 常昊|창하오중국어유창혁 劉昌赫|유창혁중국어
쿵제 孔杰|공걸중국어린하이펑 林海峰|임해봉중국어
송태곤 宋泰坤|송태곤중국어위빈 俞斌|유빈중국어
왕밍완 王銘琬|왕명완중국어저우쥔쉰 周俊勳|주준훈중국어



|

최철한 崔哲瀚|최철한중국어이창호 李昌鎬|이창호중국어
펑취안 彭荃|팽전중국어저우허양 周鶴洋|주학양중국어
창하오 常昊|창하오중국어쿵제 孔杰|공걸중국어
송태곤 宋泰坤|송태곤중국어왕밍완 王銘琬|왕명완중국어



|

최철한 崔哲瀚|최철한중국어2펑취안 彭荃|팽전중국어1
창하오 常昊|창하오중국어2송태곤 宋泰坤|송태곤중국어1



|

최철한 崔哲瀚|최철한중국어1창하오 常昊|창하오중국어3



|}

4. 1. 24강전 (4월 20일)

24강전은 4월 20일에 진행되었다. 각 대국의 승자와 패자는 다음과 같다.

승자패자
쿵제 孔杰|쿵제중국어이세돌
펑취안 彭荃|펑취안중국어왕리청
유창혁류싱 刘星|류싱중국어
야마시타 케이고구리 古力|구리중국어
최철한하네 나오키
저우허양 周鹤洋|저우허양중국어차민수
송태곤장쉬 張栩|장쉬중국어
저우쥔쉰 周俊勋|저우쥔쉰중국어알렉산더 디너스타인


4. 1. 1. 주요 대국

날짜승자패자
4월 20일쿵제 孔杰|쿵제중국어 (중국)이세돌 (대한민국)
4월 20일펑취안 彭荃|펑취안중국어 (중국)왕리청 (일본)
4월 20일유창혁 (대한민국)류싱 刘星|류싱중국어 (중국)
4월 20일야마시타 케이고 (일본)구리 古力|구리중국어 (중국)
4월 20일최철한 (대한민국)하네 나오키 (일본)
4월 20일저우허양 周鹤洋|저우허양중국어 (중국)차민수 (미국)
4월 20일송태곤 (대한민국)장쉬 張栩|장쉬중국어 (대만)
4월 20일저우쥔쉰 周俊勋|저우쥔쉰중국어 (대만)알렉산더 디너스타인 (유럽)


4. 2. 16강전 (4월 22일)

선수선수결과
최철한한국어마샤오춘최철한 승
이창호야마시타 케이고일본어이창호 승
펑취안요다 노리모토펑취안 승
저우허양중국어오타케 히데오저우허양 승
창하오유창혁창하오 승
쿵제중국어린하이펑쿵제 승
송태곤한국어위빈송태곤 승
왕밍완저우쥔쉰중국어왕밍완 승



16강전은 4월 22일에 진행되었다.[1]

4. 2. 1. 주요 대국

선수선수결과
최철한한국어마샤오춘
이창호야마시타 케이고일본어
펑취안요다 노리모토
저우허양중국어오타케 히데오
창하오유창혁
쿵제중국어린하이펑
송태곤한국어위빈
왕밍완저우쥔쉰중국어


4. 3. 8강전 (4월 24일)



4월 24일에 진행된 8강전에서는 최철한, 펑취안, 창하오, 송태곤이 각각 승리했다.

4. 3. 1. 주요 대국


4. 4. 준결승전 (9월 6일 ~ 10일)

2004년 9월 6일부터 10일까지 제5회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의 준결승전이 진행되었다. 최철한 九단은 펑취안 七단에게 2승 1패로, 창하오 九단은 송태곤 八단에게 2승 1패로 승리하여 각각 결승에 진출했다.


4. 4. 1. 주요 대국

{| class="wikitable"

|-

! 16강전

!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최철한 崔哲瀚|최철한중국어마샤오춘 馬曉春|마효춘중국어
이창호 李昌鎬|이창호중국어야마시타 케이고 山下敬吾|야마시타 케이고일본어
펑취안 彭荃|팽전중국어요다 노리모토 依田紀基|요다 노리모토일본어
저우허양 周鶴洋|주학양중국어오타케 히데오 大竹英雄|오타케 히데오일본어
창하오 常昊|창하오중국어유창혁 劉昌赫|유창혁중국어
쿵제 孔杰|공걸중국어린하이펑 林海峰|임해봉중국어
송태곤 宋泰坤|송태곤중국어위빈 俞斌|유빈중국어
왕밍완 王銘琬|왕명완중국어저우쥔쉰 周俊勳|주준훈중국어



|

최철한 崔哲瀚|최철한중국어이창호 李昌鎬|이창호중국어
펑취안 彭荃|팽전중국어저우허양 周鶴洋|주학양중국어
창하오 常昊|창하오중국어쿵제 孔杰|공걸중국어
송태곤 宋泰坤|송태곤중국어왕밍완 王銘琬|왕명완중국어



|

최철한 崔哲瀚|최철한중국어2펑취안 彭荃|팽전중국어1
창하오 常昊|창하오중국어2송태곤 宋泰坤|송태곤중국어1



|

최철한 崔哲瀚|최철한중국어1창하오 常昊|창하오중국어3



|}

4. 5. 결승전 (12월 26일 ~ 3월 5일)

결승전은 창하오|창하오중국어 9단과 최철한 9단의 대결로 진행되었다. 창하오최철한을 상대로 3승 1패를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선수1국2국3국4국5국총합
최철한흑+불계승1
창하오|창하오중국어백+불계승흑+3집승3


4. 5. 1. 최종 결과

창하오|창하오중국어 9단(중국)이 최철한 9단(대한민국)을 상대로 3승 1패를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선수1국2국3국4국5국총합
최철한흑+불계승1
창하오|창하오중국어백+불계승흑+3집승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